22년 들어서 미국의 4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
엄청난 인플레이션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고,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미국의 금리 인상 발표에 집중한다.
그래서! 항상 문제가 터지면 공부를 하는 나의 습관때문에 지금까지 조금씩 공부해왔던 '금리'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정말 물가가 안정이 될까?
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것에 있어서 중요한 건 결국에는 수요와 공급이다.
그리고 물가의 상승하는 이유에 있어서는 2가지가 있는데,
・외부에 의한 변화➡공급 측면에 의한 변화
・내부에 의한 변화➡수요에 의한 상승
이렇게 두가지다.
일단 외부에 의한 변화와 내부에 의한 변화는 2020년부터 지금 까지 우리가 모두 체감하고 있다.
외부에 의한 변화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게 '전염병'이고....
우리가 겪어봐서 알겠지만, 외부에 의한 변화는 일단 통제가 매우 어렵다.
내부에 의한 변화는 정책적으로 통제가 가능하다
결국 그 통제라는 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
보통 경기가 성장하게 되면
기업의 이익 증가➡임금 인상➡임금 인상에 따른 소비 증가➡공급이 부족➡물가 상승
이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의 물가 상승이다.
2020년 이후에는 전 세계 정부는 과도한 돈이 시장에 풀리는데 반해 노동자들은 일터로 복귀하지 않아서 결국에는 수요와 공급에 의한 문제로 물가가 지금 이렇게 상승하고 있다.
결국에는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수요과 공급을 관리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저금리 정책
우리나라도 그렇고 미국도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 정책을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위에도 말했지만, 결국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면서, 투자 수요가 늘어나고, 대출을 받는 사람이 많아지고, 그렇게 되면서 주식과 부동산 물가가 상승하였다.
일단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빈부격차이다.
우리도 알고 있지 않은가 지난 IMF 그리고 금융위기 때 수많은 부자가 나타났고, 2020년 이후에도 많은 부자가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결정적인 게, 나 같은 중소기업을 다니거나 하면 이번 2020년 바이러스 상황에서 임금이 동결되거나, 올라도 매우 소폭 오르는 반면 IT와 같은 곳과 대기업만 대한민국 평균 임금상승을 이끌어 간다.
결국에는 나같은 서민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게 현실이다.
물론 저금리 정책이 나쁘다는 건 아니지만 저금리 정책이든 고금리 정책이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요즘 핫한 CPI
요즘에 엄청 중요하게 보고 있는 지표 CPI
소비자 물가 지수(Consumer Price Index)와 더불어서 Core CPI도 같이 본다.
CPI 지수를 보면 같이 따라오는 게 WTI 원유 선물이다.
왜냐하면 CPI에는 소비자물가지수에 석유류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5%이고 석유 가격에 따라 CPI 지수도 같이 출렁이므로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CORE CPI도 많이 본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하므로 CPI보다는 상승률이 적다.
마지막으로
사실은 나도 이런 주제는 조심스럽다
내가 공부한걸 한 번 더 복습 겸 나중에 다시 책을 보거나 찾아보지 않도록 정리해서 올리는 것이기는 하지만 내가 틀린 게 없는가 하고....
아무튼 2020년 내가 처음으로 투자라는 것을 하면서 급격한 양적완화 후 급격한 금리인상을 시작하고 있다.
미국은 무려 75bp를 연속으로 4번이나 올렸고, 우리나라도 5번 연속해서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상승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머리 좋다는 사람들이 모여가지고 정책을 내는 FED도 점도표를 하루가 멀다 하고 바꾸고 있는데, 나 같은 개미가 그것을 예측해서 대응한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도 인플레가 무한정 안 잡히거나, 무한정 경기침체가 계속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언젠가는 정상화가 되는 것을 믿고 있기에 나는 이 기회에 수량을 모아간다.
'재테크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법. <현금흐름표 / Cash Flow statement...1> (1) | 2022.12.15 |
---|---|
재무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 / balance sheet...2> (0) | 2022.12.07 |
재무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 / balance sheet...1> (0) | 2022.12.04 |
재무제표 보는 법 … <프롤로그> (1) | 2022.11.29 |
미국 기준금리 올리면 어떤 영향이 올까?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