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공부14

주식 시장 선반영 처음 주식을 하고 나서 선반영이란 건 신경 쓰지 않았음 왜냐하면, 나는 장기투자자에 좋은 주식을 사면 언제 가는 오를 거라는 생각 때문이었음 다만 선반영에 대해 진지하게 시작한 시점이 대한항공에 돈을 소액 넣고 나서부터임 지금도 그렇지만 항공주 같은 모르는 분야고, 아는 것이라고는 코로나 이전에도 돈을 버는 섹터 정도? 코로나 터진 당시라서 아무나 사도 올라가는 시기라 내가 샀을 때 잠깐은 반쪽 올라갔지 않았나 싶다.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점은 워낙 소액이었고, -10%에서 미련 없이 다 팔고 떠나갔는 점이다. 손절도 금액이 워낙 소액이라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그 당시 뉴스기사를 보면 코로나임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동량 및 항공여객기도 좌석 다 분해 후 전부 물류 운송하여 생각보다 타격이 크지 않다는 뉴스.. 2023. 7. 10.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EV/EBITDA 시작하기에 앞서 PER, PBR, ROE에 이어서 이번에는 EV/EBITADA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함. EV/EBITADA 같은 경우는 감가상각비가 많이 잡히는 기업에 쓰인다고 보면 된다. 위와 같은 표현이 된다.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의 가치를 표현한 지표 에비타(EBITDA) 에비타(EBITDA)=영업이익+감가상각비(+비용으로 처리하지만 돈은 안 빠져나가는 금액 전부) + 차입금 이자 =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드린 이익=현금흐름 대용으로 사용가능 이브이(EV)=기업의 총 가치 이브이(EV)=시가총액+순차입금(총 차입금-현금성 자산)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기 자본 가치 = 기업 가치 - 총부채 + 현금 더욱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부동산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자면 집가치 = 50.. 2023. 2. 21.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PBR, ROE란 무엇인가? 시작하기에 앞서 이번에는 PER(주가 수익 비율)에 이어서 ROE, PB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함. 이전에도 말했지만, 각 섹터에 맞게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적용해야 한다. 주가 순 자산 비율 PBR (PRICE TO BOOK RATIO) PBR은 자본의 가격을 나타낸다. PBR = 현재주가 / 주당순자산(BPS) = ROE*PER =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에 대한 평가까지 포함 흔히 자기 자본이라 불리는 장부가액(청산가치)과 시장가격을 비교하는 것이다. 즉 자본총액에 비해 시장가격이 얼마나 고평가 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는 지표이다. (기업이 시장에서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장부(BOOK)가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가 이다. 제조업과 같은 경우는 장부가액.. 2023. 2. 14.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PER란 무엇인가? 시작하기에 앞서서 투자를 하기에 앞서서 일반적인 투자 지표가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공부를 하지만, PER, PBR, ROE의 연결점이라던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깊게 생각을 하려 하지 않는다. 단순히 지표가 무엇인지 외우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어떻게 연결이 되어있고, 왜 이것을 사용하는지 이해하면서 공부하자 그리고 우리의 최종목적은 자신만의 적정 주가를 구하기 위해서 도구로 사용되어야 한다. 주가 수익 비율 PER(Price Earnings Ratio) 주식을 처음 하기로 마음먹으면 가장 처음 접하고 가장 많이 접하는 용어들 중 하나가 PER일 것이라 생각한다. PER = 1주당 주가/1주당 순이익(EPS) = 주가를 이익으로 나눈 것 의미 : 주가와 기업의 수익력을 비교 PER 같은 경우는.. 2023. 2. 8.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2> 당기순이익과 감가상각을 끝으로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나중에는 틈틈이 PER, PBR 등등 이걸도 보기 좋게 정리도 할 생각이다. 아무튼 시작해보자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을 구하는 법은 아래와 같다. 결국 【영업이익-법인세+경상이익 = 당기순이익(NET INCOME)】 경상이익이라 하면 영업 외 이익 즉 주식 등으로 번 돈을 말한다. 당기순이익은 결국 땔 거 다때고 남은 금액이므로 가장 밑 NET INCOME 부분에 나오게 된다.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영업이익이 법인세를 납부하고 얻은 당기순이익보다 커야 한다. 손익계산서에서 산출하는 최종 단계의 이익은 '당기순이익(Net Income)'이다. 당기순이익은 일회성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커지고 작아질 수 있다. 이렇게 생긴 당기순이익은 주주의 몫이고, 이익잉여.. 2023. 1. 19.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1> 재무제표 읽는 법 정리는 손익계산서를 마지막일 거 같다. 재무제표 항목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파트이다. 내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는 주석과 자본변동표는 그냥 읽으면 되는 부분이니깐 그냥 보면 된다. 원래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한몸이라고 설명을 했었고, 재무상태표 글을 적고 나서 손익계산서 글을 적으려고 했는데, 손익계산서보다는 현금흐름표가 좀 더 만만해 보여서 먼저 작성했다. 아무튼 손익계산서도 열심히 정리해 보겠다. 손익계산서를 본격적으로 보기에 앞서서 가장 먼저 머리속에 기억해야 할 것은 ・손익계산서는 해마다 '0'원에서 기록 = 손실 또는 이익이 생기는 거래를 작성해 놓은 표 ・재무상태표는 해마다 '누적'해서 기록 = 자산과 부채의 변화 라는 사실을 머리속에 기억해 둬야 한다. 위의 ..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