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PER란 무엇인가? 시작하기에 앞서서 투자를 하기에 앞서서 일반적인 투자 지표가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공부를 하지만, PER, PBR, ROE의 연결점이라던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깊게 생각을 하려 하지 않는다. 단순히 지표가 무엇인지 외우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어떻게 연결이 되어있고, 왜 이것을 사용하는지 이해하면서 공부하자 그리고 우리의 최종목적은 자신만의 적정 주가를 구하기 위해서 도구로 사용되어야 한다. 주가 수익 비율 PER(Price Earnings Ratio) 주식을 처음 하기로 마음먹으면 가장 처음 접하고 가장 많이 접하는 용어들 중 하나가 PER일 것이라 생각한다. PER = 1주당 주가/1주당 순이익(EPS) = 주가를 이익으로 나눈 것 의미 : 주가와 기업의 수익력을 비교 PER 같은 경우는.. 2023. 2. 8.
23년 금리 정책 및 향후 개인 적인 생각 오랫동안 금리 변동이 없다가 작년 3월부터 시작하여 금리를 매우 빠르게 올려왔다. 실제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니깐,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나라들이 힘들어도 금리를 올려왔다. 그러자 주식시작은 1년간 계속 하락을 했고, 21년까지 장기투자 한다는 사람은 22년 들어와서 사라졌고, 적금이 최고인 시대가 왔다. 설마 올까 하던 시대가 다시 왔네. 무려 2008년 시대 금리가 돌아왔다. 주식하락이 시작하고 대략 6개월쯤 지나서는 부동산시장의 하락에 뉴스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EBS에서 발간한 【자본주의】의 책을 보니 결국 시장이 어려울때 가장 먼저 무너지는 사람은 경제적으로 힘든 사람부터 무너지기 시작한다. 영끌족부터 비명을 지르기 시작하고, 주식도 코인도 자기 돈이 아닌 빚으로 굴리는 사람부터 무너지기 시작한.. 2023. 2. 6.
이미 나는 연금 받는 걸 포기했다.(feat. 연금개혁) 올해의 뜨거운 감자 연금개혁! 90년대생인 나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금 받는다는 건 포기했다. 받아도 아마 용돈 수준일 거 같다. 연금이 아예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그 시기가 엄청 늦거나 연금을 받아도 적은 금액되겠지. 현 상황이 유지되면 42년부터는 적자에 55년에는 완전 고갈 그리고 기금 고갈 시점은 매년 앞당겨지고 있다. 그러니 내 나이 또래인 20~30대는 당연히 안 내고 안 받는 걸 선택하지 하지만 곧 연금수금 나이대인 40~50대는 요율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현 정부가 모든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개혁안을 내면 좋겠지만.... 글쎄.... 그런 답이 있기는 한 걸까?? 과연 어느 세대가 희생을 할 것인가? 일본처럼 수령나이도 올라가고 요율도 인상될게 너무나 뻔하군. 일본에서 일할 때도 내가 일을 .. 2023. 1. 30.
23년 1월 주식 결산 23년 새해가 밝았다. 올해에는 원하는 것 전부 다 성취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매달 200만원씩 주식을 사서 모아갈 생각이다. 지금 내가 느끼기에 확실한 건 주식이 많이 싸다 그리고 이제 일을 하고 있으니깐 올해는 과감하게 주식을 모아갈 거다. 올해 배당금은 120만원 받으면 좋겠다. 1월 매수한 주식 저번에 말을 했던 것 처럼 이번달은 200만 원 치 매수 했다. 한 번에 다 매수한건 아니고 나눠서 매수했기 때문에 매수 목록도 나눠서 기록을 했다. 【6일】 버라이즌 : 1주[$42.04] 애플 : 1주[$125.5] 삼성전자 우 : 1주[₩53,000] SCHD : 1주[$76.4] QQQM : 5주[$107.34] 【20일】 버라이즌 : 2주[$39.76] 애플 .. 2023. 1. 26.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2> 당기순이익과 감가상각을 끝으로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나중에는 틈틈이 PER, PBR 등등 이걸도 보기 좋게 정리도 할 생각이다. 아무튼 시작해보자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을 구하는 법은 아래와 같다. 결국 【영업이익-법인세+경상이익 = 당기순이익(NET INCOME)】 경상이익이라 하면 영업 외 이익 즉 주식 등으로 번 돈을 말한다. 당기순이익은 결국 땔 거 다때고 남은 금액이므로 가장 밑 NET INCOME 부분에 나오게 된다.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영업이익이 법인세를 납부하고 얻은 당기순이익보다 커야 한다. 손익계산서에서 산출하는 최종 단계의 이익은 '당기순이익(Net Income)'이다. 당기순이익은 일회성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커지고 작아질 수 있다. 이렇게 생긴 당기순이익은 주주의 몫이고, 이익잉여.. 2023. 1. 19.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1> 재무제표 읽는 법 정리는 손익계산서를 마지막일 거 같다. 재무제표 항목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파트이다. 내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는 주석과 자본변동표는 그냥 읽으면 되는 부분이니깐 그냥 보면 된다. 원래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한몸이라고 설명을 했었고, 재무상태표 글을 적고 나서 손익계산서 글을 적으려고 했는데, 손익계산서보다는 현금흐름표가 좀 더 만만해 보여서 먼저 작성했다. 아무튼 손익계산서도 열심히 정리해 보겠다. 손익계산서를 본격적으로 보기에 앞서서 가장 먼저 머리속에 기억해야 할 것은 ・손익계산서는 해마다 '0'원에서 기록 = 손실 또는 이익이 생기는 거래를 작성해 놓은 표 ・재무상태표는 해마다 '누적'해서 기록 = 자산과 부채의 변화 라는 사실을 머리속에 기억해 둬야 한다. 위의 ..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