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에 앞서
PER, PBR, ROE에 이어서 이번에는 EV/EBITADA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함.
EV/EBITADA 같은 경우는 감가상각비가 많이 잡히는 기업에 쓰인다고 보면 된다.
위와 같은 표현이 된다.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의 가치를 표현한 지표
에비타(EBITDA)
에비타(EBITDA)=영업이익+감가상각비(+비용으로 처리하지만 돈은 안 빠져나가는 금액 전부) + 차입금 이자
=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드린 이익=현금흐름 대용으로 사용가능
이브이(EV)=기업의 총 가치
이브이(EV)=시가총액+순차입금(총 차입금-현금성 자산)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기 자본 가치 = 기업 가치 - 총부채 + 현금
더욱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부동산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자면
집가치 = 500,000
땅가치 = 500,000
현 금 = 100,000
대 출 = 600,000
집의 가치 (기업 가치) = 집+토지 = 1,000,000
나의 자산(EV) = 집+토지+현금-대출 = 500,000 이 될 것이다.
마무리
기업의 가치라 할 수 있는 현금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시가총액에 비해서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가
순수하게 영업활동으로 지금과 같은 돈을 벌 경우, 투자한 금액만큼 버는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타나 냄
숫자가 낮을수록 저평가됨
PER과 EV/EBITADA의 공통점은 투자 잠재력 분석 할 수 있다.
PER과 EV/EBITADA의 차이점은
・PER = 순이익과 시가총액 간의 비율
・EV/EBITADA = EV와의 비율 (이자, 법인세, 감가상 가비를 반영하기 전 이익)
・기업 가치를 주주 자본만으로 보냐? 주주자본 및 타인 자본을 합께 보냐?
・이익을 당기순이익으로 볼 것인가? 실직적 현금흐름으로 볼 것인가?
PER가 높고 EV/EBITADA 낮으면 부채가 작고 감가상각이 큰 경우
PER가 낮고 EV/EBITADA높으면 레버리지 효과가 큰 기업
PER와 EV/EBITADA의 차이점을 잘 알고 비교 분석해 보는 것도 유용할 것 같다.
'재테크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장 선반영 (2) | 2023.07.10 |
---|---|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PBR, ROE란 무엇인가? (28) | 2023.02.14 |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도구 PER란 무엇인가? (2) | 2023.02.08 |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2> (1) | 2023.01.19 |
재무제표 보는 법<손익계산서 / income statement...1> (1)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