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한경 컨센서스에 들어가서 산업보고서를 찾아서 쓱 훑어봄
그래서 가끔씩 산업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공부 겸 정리해서 올려볼까 함
반도체 관련해서 삼성전자에 매달 적립식으로 주식을 모아가고 있는 입장에서 관심이 있어서 찾아봄
이번 사이클에서 반도체, 파운드리가 다시 한번 대상승장이 온다면 AI 때문에 올 거라고 생각함
가장 큰 이유로는 역시
①Chat GPT의 'Open AI'
②자율주행
이라고 생각함
다른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AI 관련하여 메타버스도 있던데 솔직히 이건 잘.....
물론 AR관련해서 사용해 보니 신기하긴 하데...
아직까지 실생활에 그렇다 할 적용이 없는 거 같은 기분이 든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술이 어느 정도 상용화되고 나서 관련 주식에 진입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함
예를 들면 애플이라던지, 테슬라라던지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어느 정도 스마트 폰이 상용화되고, 차가 도로에 굴러 다니기 시작할 때 샀어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함.
결과론적인 생각이지만....
이러한 관점에서 역시 AI가 이제 서서히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들기 시작하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시장을 보는 게 좋다고 생각함.
반도체 시장 크기 상승률만 봐도 꾸준히 시장이 커가기 때문에 기업이 크게 성장할 확률이 매우 높음
디지털 보급률이 및 기술의 발달 AI, 통신 장치 발달, 자율주행, 로봇 등으로 계속해서 반도체 소비 증가가 높아질 것임
이것저것 기업 분석도 해보고 하다 보니 수익률이 가장 좋게 나온 기업은
애플, 배터리ETF였다.
버튼 업방식보다는 탑 다운 방식이 조금 더 나에게는 맞는 투자 방법인 거 같다.
왠지 마음이 더 편한 느낌
'재테크 > 기업&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LT 채권 앞으로 어떻게 될까?? (0) | 2024.01.02 |
---|---|
23년 금리 동결 (이렇게 까지 올라갔던 시기는 언제?) (18) | 2023.06.18 |
이번 반등은 놓치지 말자 (23년 미국 시황 생각) (22) | 2023.05.24 |
인텔 분석(23.05.04) (18) | 2023.05.06 |
엔비디아 분석(23.04.18) (15) | 2023.04.23 |
댓글